홈으로
도심 공기 속 미세플라스틱, 도시숲 차단 가능성 확인
  • 등록일2021-09-30
  • 작성자연구기획과 / 김문섭 / 031-290-1163
  • 조회940
-국립산림과학원, 국내 최초 도심과 도시숲의 대기 중 미세플라스틱 양과 성분 분석-
-폴리플로필렌 비율 가장 높고, 녹지 비율 높을수록 미세플라스틱 양 낮음-

□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원장 박현)은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정수종 교수 연구팀), 세스코와 함께 국내 최초로 도심과 도시숲의 대기 중 미세플라스틱의 양과 성분을 분석한 결과, 녹지 비율이 높은 곳일수록 미세플라스틱 양이 적게 검출되었다고 밝혔다.

□ 공동 연구팀은 산림 미세먼지 측정넷 지점 3곳(홍릉숲, 청량리교통섬, 서울로7017)의 공기를 포집하여 대기 중 미세플라스틱(양털 굵기 정도의 직경 20㎛이상)의 양과 성분을 분석하였다.

○ 미세플라스틱 입자의 하루 평균 검출된 개수는 도심 서울로7017에서 1㎥당 1.21개로 가장 높았다. 홍릉숲과 청량리교통섬은 각각 0.79개와 1.09개로 도심보다 낮았다.

○ 홍릉숲 측정점 직경 2km 이내의 그린인프라(산림, 초지)는 40.2%로, 청량리교통섬(10.9%)과 서울로7017(9.9%)보다 녹지 비율이 높았다. 이는 미세먼지 및 폭염저감 효과가 높은 도시숲이 미세플라스틱도 차단 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 분석된 플라스틱 종류로는 일회용기, 합성섬유 등에 많이 사용되는 폴리프로필렌(PP)이 59%로 가장 많았으며, 이는 플라스틱의 물리적 마모와 광분해 과정을 통해 대기 중으로 유입된 것으로 추측된다.
○ 이외에도 폴리에스테르(12%), 폴리에틸렌(7%), 폴리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7%) 등이 포함되어 있었으며, 폴리에스테르는 대부분 섬유 형태로 확인되었다.

□ 기존까지는 해양 분야의 미세플라스틱 연구가 대부분이었으나, 이번 연구는 도심과 도시숲의 ‘대기’ 중 미세플라스틱을 포집하여 분석했다는 것에 의미가 있다. 특히 메가시티의 도시숲에서 측정한 것은 세계 최초이다.

□ 서울대 환경대학원 정수종 교수는 “이번 연구 결과는 플라스틱 소비가 전 세계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상황 속 우리가 호흡하는 공기에서 검출된 미세플라스틱을 새로운 대기오염물질로 관리해야 함을 시사한다.”라고 말하며 “앞으로 숲과 도심 속 대기 중 미세플라스틱의 움직임을 이해하기 위한 범부처 차원의 대응이 필요하다.”라고 강조했다.

□ 국립산림과학원 박찬열 박사는 “이번 연구는 도시숲의 미세플라스틱 차단 효과를 구명하는 연구의 출발점이다.”라고 말하며, “앞으로 체계적이고 심도 있는 모니터링을 위한 연구 장비 및 지원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라고 말했다.

도심 공기 속 미세플라스틱, 도시숲 차단 가능성 확인 이미지1 도심 공기 속 미세플라스틱, 도시숲 차단 가능성 확인 이미지2 도심 공기 속 미세플라스틱, 도시숲 차단 가능성 확인 이미지3

첨부파일
  • 서울 관악구 도시숲.jpg [135.0 KB] 첨부파일 다운로드
  • 서울 목동 일대 도시숲.jpg [229.5 KB] 첨부파일 다운로드
  • 폴리프로필렌 현미경 사진.jpg [86.3 KB] 첨부파일 다운로드
  • (보도자료)도심 공기 속 미세플라스틱, 도시숲 차단 가능성 확인.pdf [796.1 KB] 첨부파일 다운로드
  • (보도자료)도심 공기 속 미세플라스틱, 도시숲 차단 가능성 확인.hwp [7.8 MB] 첨부파일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