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으로
‘사막화와 가뭄 방지의 날’ 사막화 막기 위해 국제공동연구 강화한다
  • 등록일2024-06-17
  • 작성자연구기획과 / 이수연 / 02-961-2582
  • 조회114
‘사막화와 가뭄 방지의 날’ 사막화 막기 위해 국제공동연구 강화한다
- 국립산림과학원, 사막화 방지 및 산림복원 국제협력과 과학적 연구 강화 -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원장 배재수)은 6월 17일, 올해 30주년이 된 ‘세계 사막화와 가뭄 방지의 날’을 맞아, 사막화 방지와 산림복원을 위해 동북아시아?아프리카 등 현지 연구기관과 공동연구를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국립산림과학원은 중국, 몽골, 미얀마 등에서 2000년대 초반부터 추진된 과거 사막화 방지 및 산림복원 조림 사업지를 모니터링하고 문제점 및 개선 방안, 관리 방법 등을 제시하여 상대국으로부터 큰 호응을 얻고 있다.

특히 중국임업과학연구원과 한-중 사막화 방지 조림 사업지 10곳의 식생조사 및 위생 영상 분석 등 공동연구를 매년 진행하고 있다. 실제 조사 결과 조림한 나무의 80% 이상이 건강한 산림으로 자라고 있으며, 지역주민의 생활 환경 개선과 지역 경제 활성화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2007년부터 시작된 한-몽 그린벨트 조림 사업의 초기 조림 사업지(2008년)를 위성영상으로 분석한 결과, 조림 8년 후 나무 면적은 조림 전과 비교하여 12% 증가했고, 모래땅 면적은 18%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 현지 사막화 방지와 황사 발생 저감에 크게 이바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립산림과학원의 사막화 방지를 위한 국제공동연구 결과와 노력은 2022년 유엔사막화방지협약(UNCCD)이 발간한 『제2차 전 세계 토지 전망 보고서』에 수록되었으며, 2023년 우즈베키스탄에서 개최한 ‘제21차 유엔사막화방지협약 협약이행검토위원회’에서도 사막화 방지를 위한 국가 간 협업 및 사후 모니터링?평가 체계 구축 우수 사례로 소개되었다.

국립산림과학원 양희문 산림생태연구과장은 “사막화 방지를 위해서는 현지의 자연환경뿐만 아니라 인문·사회적 상황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과학적 조림 기술과 장기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라며, “앞으로도 사막화, 가뭄, 황사(SDS) 등 전 세계적인 이슈에 과학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현지 연구진과의 공동연구와 협력을 지속해 나갈 것이다”라고 밝혔다.

‘사막화와 가뭄 방지의 날’ 사막화 막기 위해 국제공동연구 강화한다 이미지1 ‘사막화와 가뭄 방지의 날’ 사막화 막기 위해 국제공동연구 강화한다 이미지2 ‘사막화와 가뭄 방지의 날’ 사막화 막기 위해 국제공동연구 강화한다 이미지3 ‘사막화와 가뭄 방지의 날’ 사막화 막기 위해 국제공동연구 강화한다 이미지4

첨부파일
  • (보도자료) 사막화와 가뭄 방지의 날 사막화 막기 위해 국제공동연구 강화한다.hwp [1.1 MB] 첨부파일 다운로드
  • 몽골 룬솜 조림지_2018.05.17 2206.JPG [4.1 MB] 첨부파일 다운로드
  • 몽골 룬솜 조림지_2018.05.17 2669.JPG [3.5 MB] 첨부파일 다운로드
  • 중국 귀주성 수문현 조림사업지_2005-2018.jpg [313.4 KB] 첨부파일 다운로드
  • 중국 내몽골 통료시 조림사업지_2000-2017.jpg [347.7 KB] 첨부파일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