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으로
활엽수 묘목 생산 기술에 스마트를 더하다
  • 등록일2024-05-17
  • 작성자연구기획과 / 이수연 / 02-961-2582
  • 조회145
활엽수 묘목 생산 기술에 스마트를 더하다
-국립산림과학원, 활엽수 묘목 생산 기술 고도화를 위한 세미나 개최-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원장 배재수)은 13일(월), 기후 위기에 대응하는 활엽수 묘목 생산 기술의 고도화 방안을 탐색하기 위해 활엽수 양묘 전문가를 초청해 세미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세미나에서는 활엽수림 조성 확대와 지속 가능한 자원조성 방안을 도출하기 위해 ‘2세대 산림용 스마트 양묘 모델 개발’과 ‘기능성 미생물 활용 양묘 기술’을 주제로 분야별 전문가의 발표와 토론이 이어졌다.

특히, 민간에서 큰 나무 양묘에 주로 활용하는 컨테이너(용기) 재배* 기술을 산지 식재용 묘목 생산에 적용하는 방안도 논의되어, 활엽수림 조성 확대에 필요한 묘목 생산 기술의 다각화 가능성을 열었다.
* 컨테이너 재배 : 식물을 특정 용기에 담아서 재배하는 방법으로 충분한 양의 상토와 생육공간을 제공하여 큰나무 생산에 많이 활용

이번 세미나를 시작으로 국립산림과학원은 첨단 스마트 시설, 기능성 재료, 양묘 요소 기술 등을 융복합하여, 기후 위기로 인한 활엽수 묘목의 득묘율 저하와 산지에서의 낮은 활착률을 해결해 나갈 예정이다.

국립산림과학원 산림기술경영연구소 한승현 연구사는 “갈수록 빨라지는 기후 위기 시계는 우리 숲에도 큰 변화를 예고한다”라며, “융복합형 활엽수 양묘 기술 개발을 통해 환경변화에 대응하는 미래 산림자원 조성에 앞장서겠다”라고 밝혔다.

활엽수 묘목 생산 기술에 스마트를 더하다 이미지1

첨부파일
  • (보도자료) 활엽수 묘목 생산 기술에 스마트를 더하다.hwp [303.0 KB] 첨부파일 다운로드
  • (보도자료) 활엽수 묘목 생산 기술에 스마트를 더하다.hwpx [306.2 KB] 첨부파일 다운로드
  • 활엽수 용기묘 생산1.jpg [980.5 KB] 첨부파일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