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으로
부족한 도시녹지, 잔디로 생활 곳곳에 녹화를 하다
  • 등록일2024-05-27
  • 작성자연구기획과 / 이수연 / 02-961-2582
  • 조회134
부족한 도시녹지, 잔디로 생활 곳곳에 녹화를 하다
- 국립산림과학원, 도시 내 잔디 활용 확대를 위한 산·학·연 현장간담회 개최-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원장 배재수)은 5월 24일(금), 도시 및 생활권 내 친환경 소재인 잔디 녹화 확대와 이용 활성화 방안 모색을 위해 산·학·연 현장간담회를 개최하였다.

간담회에는 한국잔디학회 이긍주 회장, 한울스포츠잔디 윤정호 대표, ㈜LCM 양근모 박사, 신젠타코리아 양지석 팀장, 대구대학교 김영선 교수, ㈜대정골프엔지니어링 잔디연구소 류주현 소장, 산림바이오소재연구소 연구진 등이 참석하였다.

이번 간담회에서는 ▲도시 및 생활권 내 천연 소재인 잔디 녹화 확대 방안 ▲잔디 이용 활성화 및 소비 확대를 위한 문제점 발굴 및 개선 방안 ▲다양한 생활공간 내 잔디 활용을 위한 제도개선 필요성 등을 논의하였다.

도시 및 생활권 내 옥상, 주차장 등 인공지반 녹화와 새로운 공공 녹지공간이 조성되고 있으며, 최근 초고령사회로 인한 시니어 활동공간, 반려동물 놀이터 등이 확대 추진 중에 있다.
* 공원 및 유휴지 내 생활체육으로 파크골프장 설치 증가 : ’17년 137개소 → ’24년 382개소 2.8배
* 공공 녹지공간 내 반려동물 놀이터 조성 확대 : 123개소 중 81개소(65.9%) 자연녹지지역

이에 잔디 수요·생산 확대 및 산업 경쟁력 제고를 위해 도시 및 생활권 곳곳의 공공공간, 유휴지 등에 잔디를 활용한 적극적인 녹화와 실내·외 생활공간 천연녹화조성용 잔디 소재 개발 등의 연구가 필요하다.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바이오소재연구소 서정원 소장은 “도시 내 부족한 녹지 확보를 위해 잔디를 활용한 녹화 확대로 녹지가 풍부한 녹색도시를 만들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부족한 도시녹지, 잔디로 생활 곳곳에 녹화를 하다 이미지1 부족한 도시녹지, 잔디로 생활 곳곳에 녹화를 하다 이미지2

첨부파일
  • (보도자료) 부족한 도시녹지, 잔디로 생활 곳곳에 녹화를 하다.hwp [4.3 MB] 첨부파일 다운로드
  • (보도자료) 부족한 도시녹지, 잔디로 생활 곳곳에 녹화를 하다.hwpx [4.0 MB] 첨부파일 다운로드
  • 잔디 현장간담회_1.jpg [3.5 MB] 첨부파일 다운로드
  • 잔디 현장간담회_2.jpg [4.2 MB] 첨부파일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