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으로
숲의 구조에 따라 산림치유 효과가 달라진다
  • 등록일2022-10-13
  • 작성자연구기획과 / 김문섭 / 031-290-1163
  • 조회665
- 국립산림과학원, 숲의 구조에 따른 산림치유 효과성 평가 -

□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원장 박현)은 숲의 구조에 따른 치유 효과를 규명하기 위해 임목 밀도와 수관율(가지와 잎이 울창한 정도)과 관련한 기존 연구를 고찰하고 메타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다고 밝혔다.

○ 총 8천 건의 선행연구에서 보고된 문헌을 검토하여 산림치유의 효과를 정량화하고, 하위그룹 분석을 통해 숲의 구조(임목 밀도, 수관율)가 다른 산림 내 공간에서의 산림치유 효과를 산출하였다.

□ 기존 산림치유의 효과에 대해 보고된 문헌 분석 결과, 헥타르당 400본에서 800본의 나무가 있는 숲에서 인체에 다양한 산림치유 효과가 복합적으로 나타났다.

○ 400~800본/ha 범위에서 불안과 분노 등 부정 정서의 완화와 주의력 증가 효과가 가장 컸으며, 활력 증진에도 효과를 나타냈다.

○ 숲의 수관율 또한 50%∼80% 내외일 때 정서 개선과 주의력회복 효과가 가장 높게 나타나면서 숲이 과밀해질수록 오히려 효과가 작아진다는 것을 밝혀냈다.

□ 숲을 이루는 나무와 잎의 무성한 정도는 방문객이 숲속에서 느낄 수 있는 개방감, 쾌적함, 편안함, 미적 반응에 영향을 미치므로 지속적인 숲가꾸기를 통해 치유에 적합한 숲 환경을 조성?관리할 필요가 있다.

○ 울창한 숲은 웅장한 자연을 느끼게 하지만, 과도한 밀도의 숲은 자칫 시야를 좁히고 이동을 어렵게 만들어 방문객의 안전을 위협하고 자연에 대한 몰입을 방해할 수 있다.

○ 반대로 나무가 너무 적거나 개방된 숲은 탁 트인 느낌을 줄 수 있지만, 자칫 지루하고 단조로워 산림치유 효과가 줄어든다.

□ 한편, 국제사회에서 산림의 가치는 지속해서 변화해 왔으며, 근래 산림의 의미가 보존 및 생산을 위한 천연자원을 넘어 건강증진을 위한 자원으로 확장되었다.

○ 이러한 국제적 추세에 맞춰 산림과 보건 분야 간 협력이 증가하면서, 치유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숲의 특성’과‘치유 효과’의 관계성 연구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 국립산림과학원 산림휴먼서비스연구과 조재형 과장은 “전국에서 조성·운영 중인 70여 개소 치유의 숲을 활성화하고 치유 효과를 증진하기 위해 다양한 숲 관리 방안과 효과성에 대해 지속해서 연구하겠다”라고 말했다.

□ 본 연구 결과는 국제 헬스케어 저널(Healthcare, 2021. 9(11))에 게재되었다.

숲의 구조에 따라 산림치유 효과가 달라진다 이미지1 숲의 구조에 따라 산림치유 효과가 달라진다 이미지2 숲의 구조에 따라 산림치유 효과가 달라진다 이미지3

첨부파일
  • 인제 자작나무숲.jpg [8.6 MB] 첨부파일 다운로드
  • 낙엽송숲길.jpg [1.6 MB] 첨부파일 다운로드
  • 숲가꾸기가 잘된 가꿔진 숲 전경.jpg [6.0 MB] 첨부파일 다운로드
  • (보도자료)숲의 구조에 따라 산림치유 효과가 달라진다.hwpx [2.6 MB] 첨부파일 다운로드
  • (보도자료)숲의 구조에 따라 산림치유 효과가 달라진다.pdf [526.9 KB] 첨부파일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