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으로
소각으로 인한 산불! 과학적 예측으로 막는다
  • 등록일2016-03-07
  • 작성자연구기획과 / 한진규 / 031-290-1152
  • 조회1936

소각으로 인한 산불! 과학적 예측으로 막는다
- 국립산림과학원, ‘소각산불 징후 예보제’ 시범 운영 -



□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원장 남성현)이 소각행위로 인한 산불발생을 예방하기 위해 ‘봄철 산불조심기간(2월 1일∼5월 15일)’ 동안 ‘소각산불 징후 예보제’를 시범 운영한다고 3일 밝혔다.


  ○ ‘소각산불 징후 예보제’는 전국 16개 시?도를 대상으로 건조상태를 나타내는 상대습도와 온도 등 기상여건을 파악해 소각산불 발생 가능성이 있는 지역을 예측하고 산림청 국가산불위험예보시스템(http://forestfire.nifos.go.kr)을 통해 해당 지역 산불담당자와 국민에게 미리 알려주는 제도이다.
 
  ○ 최근, 산림인접지에서 불법소각 행위로 인한 산불이 지속 증가하고 있다. 최근 10년간(2006년∼2015년) 발생된 산불 중 소각산불이 차지하는 비중은 29%이며, 2013년 이후부터 소각 부주의로 인한 산불이 예년 평균을 웃돌고 있다.



□ 국내 소각산불은 평년보다 높은 기온과 낮은 습도인 날에 주로 발생했다. 2015년의 경우 3월 21일(15건), 22일(31건), 28일(19건)에 산불이 가장 많이 발생했는데 해당일 모두 습도가 낮고, 기온이 평년보다 8℃ 이상 높았다.

□ 국립산림과학원은 이 같은 현상에 주목, 최근 10년간 산불 건수와 산불 발생 당시의 기온?상대습도와의 상관관계를 밝혀 ‘소각산불위험지수 산정식’을 개발했다.


  ○ ‘소각산불 징후 예보’는 주의보 단계와 경보 단계로 구분되는데 소각산불위험지수가 10 이상 15 미만이면 ‘소각산불 징후 주의보’를, 소각산불위험지수가 15 이상이면 ‘소각산불 경보’를 발령한다.

□ 국립산림과학원 윤호중 산림방재연구과장은 “과학적 자료 분석을 근거로 한 ‘소각산불 징후 예보제’를 통해 국민에게 쓰레기 소각과 농산폐기물 소각의 위험성을 알리는 한편 산불 담당자들의 근무 효율성을 향상시켜 산불을 줄이는 데 일조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소각으로 인한 산불! 과학적 예측으로 막는다 이미지1 소각으로 인한 산불! 과학적 예측으로 막는다 이미지2

첨부파일
  • (160303) 보도자료-소각산불 과학적 예측으로 막는다.hwp [1.9 MB] 첨부파일 다운로드
  • 크기변환_최근 산림인접지에서의 불법소각으로 인한 산불 발생이 증가함에 따라 국립산림과학원에서는 `소각산불 징후 예보제`를 시범운영한다..jpg [792.4 KB] 첨부파일 다운로드
  • 국가산불위험예보시스템의 소각산불 징후예보_001.jpg [835.5 KB] 첨부파일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