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으로
여름철 극한 호우 대비 산사태예측분석센터 운영
  • 등록일2024-05-16
  • 작성자연구기획과 / 이수연 / 02-961-2582
  • 조회166
름철 극한 호우 대비 산사태예측분석센터 운영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원장 배재수)은 여름철 극한 호우로 인한 산사태 재해 예방 및 피해 최소화를 위해 산사태예측분석센터를 운영한다.
기상청이 발표한 ‘2024년 여름 기후 전망’에 따르면, 올여름 기온이 평년보다 높을 확률은 50%로, 지난해보다 더 더울 예정이며, 여름철 발달한 저기압과 대기 불안정의 영향으로 많은 비가 내릴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이상기후로 인한 전례 없는 기상 상황으로 산사태 피해 규모가 증가 추세를 보여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국립산림과학원은 산사태의 주요 원인인 극한 호우가 집중되는 5월 15일~10월 15일을 여름철 자연 재난 대책 기간으로 정하고, 산사태예측분석센터를 운영하여 산사태로부터 인명과 재산 피해를 줄이는 데 전력을 기울일 계획이다.
산사태예측분석센터는 첨단기술을 기반으로 한 산사태 정보시스템을 활용하여 다음과 같이 산사태에 대응한다.
첫째, 대국민 대상으로 올해 2월 이후 현행화된 ‘실시간 산사태 위험도’를 공개한다. 실시간 산사태 위험도는 전국 산지를 지질, 지형, 산림상태 등 9개 인자를 활용하여 산사태 위험도를 1~5등급(1등급 : 매우위험 ~ 5등급 : 매우 낮음)으로 구분하고, 강우 상황을 반영한다. 산사태 위험도가 높은 행정구역과 마을정보를 미리 알 수 있어 산사태 대피에 활용할 수 있다.
둘째, 산사태 예?경보시스템을 활용하여 행정구역별로 48시간 전에 산사태 예?경보 정보를 제공한다. 우선 전국을 과거 20년간 강우 특성과 지질분포를 활용해 11개 권역으로 구분하고, 권역별로 산림토양이 물을 머금을 수 있는 비율을 분석하여 80%일 때 주의보, 100%일 때 경보로 예측해서 읍?면?동 단위로 대피 시기를 알려 산사태 피해를 최소화한다.
특히 올해부터는 산사태 대피 골든타임을 확보하고자 기존 체계에서 산림토양이 물을 머금을 수 있는 비율이 90%에 도달할 때 예비경보를 추가하여 제공한다.
셋째, 국립산림과학원은 산사태의 예측 정확도를 보다 높이기 위해, 극한 호우를 반영한 ‘디지털 사면통합 산사태정보시스템’을 구축한다. 이는 기존 산지 위주의 사면정보*뿐 아니라 각 부처에 흩어져 관리되고 있는 범정부 사면정보를 통합적으로 분석하여 산사태 위험 예측의 사각지대를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 행안부급경사지, 농식품부농지, 산업부발전시설, 국토부도로사면, 문화재청문화재 등 2,008천건
국립산림과학원 산사태연구과 이창우 과장은 “최근 연평균 강수량 증가와 이상기후 현상이 심화되며 산사태 피해규모가 증가 추세를 보인다.”며 “과학적이고 선제적인 산사태 위험 예보를 통해 산사태의 위험으로부터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지키기 위해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

여름철 극한 호우 대비 산사태예측분석센터 운영 이미지1 여름철 극한 호우 대비 산사태예측분석센터 운영 이미지2 여름철 극한 호우 대비 산사태예측분석센터 운영 이미지3

첨부파일
  • (보도자료) 여름철 극한 호우 대비 산사태예측분석센터 운영.hwp [3.2 MB] 첨부파일 다운로드
  • (보도자료) 여름철 극한 호우 대비 산사태예측분석센터 운영.hwpx [3.0 MB] 첨부파일 다운로드
  • 05월14일-산사태예측분석센터현판식-01-01.jpg [875.9 KB] 첨부파일 다운로드
  • 05월14일-산사태예측분석센터현판식-01-02.jpg [1.7 MB] 첨부파일 다운로드
  • 05월14일-산사태예측분석센터현판식-01-03.jpg [2.2 MB] 첨부파일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