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으로
국립산림과학원, 상록활엽수 굴거리나무 '금이' 신품종 개발
  • 등록일2023-02-15
  • 작성자연구기획과 / 이수연 / 02-961-2582
  • 조회541
국립산림과학원, 상록활엽수 굴거리나무 ‘금이’ 신품종 개발
-연노랑 잎에 아름다운 황금색 무늬가 있어 새로운 조경수로 기대-


□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원장 배재수)은 일반 굴거리나무와 달리 잎에 황금색 무늬가 있는‘금이’를 개발하고, 국립산림품종관리센터의 재배심사를 거쳐 품종보호 등록을 완료했다고 밝혔다.

○ 상록활엽 소교목인 굴거리나무(Daphniphyllum macropodum Miq.)는 제주도, 가거도, 보길도, 안면도, 울릉도 등지에 자생한다. 수고는 10m, 흉고직경은 60㎝에 달하며, 잎이 두껍고 장타원형으로 가지 끝에 모여서 달리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주로 공원수, 정원수, 가로수로 식재한다.

□ 신품종‘금이’는 초여름에 잎이 연두색에서 녹색으로 변하는 기존 굴거리나무와 달리 잎이 연노랑으로 발현되면서 중앙을 중심으로 비대칭의 아름다운 황금색 무늬가 나타나 조경수로서의 활약이 기대된다.

○ 2016년에 출원한 금이는 재배심사를 통해 일반 굴거리 나무와는 다른 새로운 잎의 색과 잎 무늬 유무 및 패턴 등의 신규성을 갖추고 있음이 확인되었으며, 균일성과 안정성도 갖추고 있어 올해 2월 품종보호 결정이 되었다.

□ 해당 신품종은 향후 3년간 접목증식 하여 개체 수를 충분히 확보한 후 산림청 국유품종 통상 실시 절차를 통해 재배를 희망하는 농가나 업체에 보급할 예정이다.

□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바이오소재연구소 서정원 소장은 “굴거리나무는 관상수 소재로 외래수종 대신 국산수종으로 품종 개발이 되었다는 중요한 의미가 있다.”라며, “앞으로도 유용한 수종 발굴을 통해 다양한 소재 개발 등 임업인의 소득 증대를 위해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

국립산림과학원, 상록활엽수 굴거리나무 '금이' 신품종 개발 이미지1 국립산림과학원, 상록활엽수 굴거리나무 '금이' 신품종 개발 이미지2 국립산림과학원, 상록활엽수 굴거리나무 '금이' 신품종 개발 이미지3

첨부파일
  • (보도자료)국립산림과학원 상록활엽수 굴거리나무 '금이' 신품종 개발.hwpx [1.1 MB] 첨부파일 다운로드
  • 굴거리나무 금이 잎(2월 생육사진).jpg [317.0 KB] 첨부파일 다운로드
  • 굴거리나무 금이 잎(8월 생육사진).jpg [292.0 KB] 첨부파일 다운로드
  • 굴거리나무 일반종 잎(2월 생육사진).jpg [280.6 KB] 첨부파일 다운로드